![](https://blog.kakaocdn.net/dn/bj7dHJ/btsAmsaIgs0/wdsyTnKpeMxm0FSW77zld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sscI/btsAs6pU55O/txJR6EfvF4l3SHL4cvoll1/img.jpg)
사진 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2023년 11월 15일 원 달러 환율은 전날 대비 28.1원 하락한 1300.8원으로, 매매기준율은 2.6원 하락 1325.3원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오늘 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6거래일 만에 1300원대로 하락 마감했다. 미국 물가 둔화에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피벗(통화정책 방향 전환) 기대감에 달러화가 약세로 돌아서며 환율 급락을 이끌었다. 여기에 중국 지표 개선으로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며 원화에 우호적인 여건이 조성됐다.
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밑돌면서 연준이 금리 인상을 종료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다. 미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3.2%로 월가가 집계한 예상치(3.3%)를 소폭 밑돌았다. 직전 월 상승률(3.7%) 대비 크게 둔화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4.0%, 전월 대비 0.2% 각각 올랐다. 시장 예상치는 각각 4.1%, 0.3%였다.
이에 달러화는 약세를 나타냈다. 달러인덱스는 이날 새벽 2시 25분 기준 104.20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9월 13일 이후 두 달여 만에 104선으로 내려온 것이다. 달러 약세에 달러·엔 환율은 150엔대로 내려왔다.
오늘 장중 발표된 중국의 3대 실물 경제 지표 가운데 소매판매, 산업 생산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호조를 보였다. 다만 고정자산 투자 전망치와 전월치를 밑돌았다. 중국 경제가 개선을 보이자 장중 달러·위안 환율은 7.26위안에서 7.24위안으로 하락하며 위안화 강세를 나타냈다.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순 매수하며 환율 하락을 지지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5400억 원대, 코스닥 시장에서 1500억 원대를 순 매수했다. 이에 코스피 지수는 2.20%, 코스닥 지수는 1.91% 상승했다
오늘 밤 10시쯤 미국 10월 소매판매도 발표된다. 소매판매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는 전월비 -0.3%로 9월(0.7%)에서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으로 보고 있다. 소매판매가 전월비 마이너스를 기록한다면 인플레이션 둔화 전망을 뒷받침해, 추가 환율 하락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 중개에서 거래된 규모는 130억 4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미연준 #피봇 #환율급락 #FOMC #CPI #달러인덱스 #중국경제지표 #코스피 #코스닥 #달러 #2023년11월15일환율 #한결최선케비
'환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11월 17일 환율 및 매매기준 (1) | 2023.11.17 |
---|---|
2023년 11월 16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2) | 2023.11.16 |
2023년 11월 14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2) | 2023.11.14 |
2023년 11월13일 환율 및 매매기준 (4) | 2023.11.14 |
2023년 11월 10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3) | 202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