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출처: 서울외국환중개소 , 네이버 환율
2023년 6월 2일 원달러 환율은 전날 대비 15.9원 내린 1305.7원으로, 매매기준율는 0.9원 내린 1320.7원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오늘의 외환시장에서 원달러는 미국의 통화긴축 완화,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 해소 등이 겹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진 영향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중단에 대한 기대감이 짙어진 탓입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은 연준이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77.2%로 전망했습니다.
또 미국 상원의 부채한도 합의안 가결에 디폴트 우려가 부분적으로 해소되며 연준의 금리동결 기대감이 보다 커졌다. 금융시장의 불안이 약해지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진 것입니다.
미국 연방 상원은 1일(현지시간) 밤 조 바이든 대통령과 매카시 하원의장의 부채한도 합의안을 통과시켰습니다.여기에 간밤 발표된 미국 제조업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 하락도 한몫했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5월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46.9로 예상치(4.7%)를 밑돌았습니다.
이 여파로 달러가 약세를 보이며 환율은 내렸다. 이날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달러인덱스는 2일 103.47을 기록, 약보합권에서 등락 중입니다.
한편 이날 서영경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원/달러 환율이 1100원대로 하락하긴 어렵다고 전망했다.
그는 "원/달러 환율이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 이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2018년 1100.5원, 2019년 1166.11원 등 1100원 수준에서 2020년 1180원, 2021년 1144.6원, 2022년 1292.2원으로 높아지다가 최근 1300원대를 보이고 있습니다.
서 위원은 "경기적 요인뿐만 아니라 중국 경쟁심화, 인구 고령화, 기업·가계의 해외투자 수요 확대 등 구조적 변화가 작용하고 있어 환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긴 어려울 전망"이라며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 안정화 기능이 약화됐으므로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수출 경쟁력 강화, 수출 시장 다변화, 중간재 수입 대체와 같은 구조적 노력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원달러 #환율 #미연준 #채무불이행 #디폴트 #FOMC #미국공급관리협회 #제조업구매자관리지수 #한은 #2023년6월2일환율 #한결최선케비
'환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6월 7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36) | 2023.06.07 |
---|---|
2023년 6월 5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20) | 2023.06.06 |
2023년 6월 1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0) | 2023.06.02 |
2023년 5월 31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2) | 2023.06.01 |
2023년 5월 30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2)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