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Geld케빈

2025년 4월 28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본문

환율이야기

2025년 4월 28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Geld케빈 2025. 4. 28. 21:13
728x90
반응형

2025년 4월 28일 환율 분석: 글로벌 달러 강세에 11거래일 만에 1440원대 재진입


오늘 2025년 4월 28일, 원·달러 환율은 글로벌 시장의 달러 강세와 위안화 약세, 그리고 결제 수요 증가 등의 복합적 영향으로 전 거래일 대비 6.1원 상승한 1442.6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는 지난 11일(1449.9원) 이후 11거래일 만에 1440원대를 회복한 것으로, 최근 환율 상승세가 얼마나 견고한지를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환율 흐름 요약: 장중 강세 확대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환율은 1438.5원에 개장하여 시작부터 강한 상승 압력을 받았습니다. 개장가는 전일 종가(1436.5원)보다 2.0원 오른 수준이었으며, 지난 26일 새벽 2시 마감가(1439.8원) 기준으로는 1.3원 낮은 가격이었습니다.

장중 흐름을 살펴보면:

• 오전에는 1440원선을 넘나들며 비교적 안정된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 그러나 점심시간 무렵부터 상승폭을 키우기 시작, 오후 12시 54분에는 1442.8원을 터치했습니다.
• 이후 잠시 소폭 하락하는 듯했으나, 오후 2시를 지나면서 다시 상승세를 가속, 마감 직전까지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 최종적으로 1442.6원에서 거래를 마쳤으며, 장 마감 후 오후 4시경에는 1446.0원까지 상승하는 등 상승 압력이 여전했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글로벌 요인: 달러 강세와 위안화 약세


이번 환율 상승의 가장 큰 배경은 글로벌 외환시장 전반에서 달러화가 강세를 나타냈기 때문입니다. 주말 동안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분쟁 완화 기대감이 다시 고개를 들었고,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협상에 대한 의지가 부각되면서 달러 매수세가 이어졌습니다.

• 달러인덱스는 이날 새벽 3시 11분 기준 99.74를 기록, 다시 100선에 근접하는 강한 흐름을 보여줬습니다.

• 반면, 위안화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달러·위안 환율은 7.30위안대로 상승했으며, 이는 위안화가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달러·엔 환율은 143엔대가 지지되는 모습을 보여, 일본 엔화 역시 약세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정리하면, 달러화 강세와 아시아 지역 통화들의 약세 흐름이 결합되면서 원화 또한 약세를 보였고, 결과적으로 원·달러 환율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국내 요인: 외국인 순매도와 결제 수요


국내 요인 역시 이날 환율 상승을 지지했습니다.

•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 시장에서 약 1000억 원, 코스닥 시장에서 500억 원 규모를 순매도했습니다. 이는 전일 순매수 흐름을 하루 만에 뒤집은 것으로, 외국인의 매도 전환이 원화 약세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특히 외국인의 순매도는 주식 시장에서 원화를 매도하고 달러를 매수하는 흐름으로 이어져, 환율 상승 압력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또한 이날은 결제 수요가 공급을 웃도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수출입 기업들의 결제 수요가 몰리면서 달러 수요가 공급을 초과, 자연스럽게 환율이 상승하는 구조가 형성됐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외환시장 거래량: 활발한 거래 지속


이날 정규장에서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를 통한 외환 거래량은 103억 800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이는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환율 변동성이 커질 때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거래량 증가와 환율 상승이 동시에 이루어진 이날은 시장 참가자들이 리스크 헷지(hedge) 목적으로 적극적으로 환율 포지션을 조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최근 5거래일 환율 흐름 정리


이번 4월 22일부터 28일까지 5거래일 연속 환율 상승은 매우 이례적인 흐름입니다.
특히 24일 급등 이후, 하루도 쉬지 않고 상승세를 이어간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달러 강세, 글로벌 리스크 요인, 국내 경제 불안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사진참조: 네이버 환율


향후 전망: 추가 상승 여부는?


현재 환율은 1440원대 중반에 머물고 있지만, 추가적인 상승 여부는 여러 변수에 달려 있습니다.

상승 요인

• 미국 경제지표 호조 및 연준(Fed)의 긴축 정책 지속 가능성
•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 외국인 자금 유출 지속

하락 요인

• 미중 무역 협상 진전 기대
• 한국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
• 수출 증가로 인한 달러 공급 확대

특히 달러인덱스가 100선을 돌파할 경우 환율 추가 상승 가능성이 커질 수 있으며, 반대로 미중 간 긍정적 뉴스가 나온다면 조정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결론: 환율 변동성에 대비해야 할 시기


2025년 4월 28일의 환율 마감 결과는, 글로벌 경제 뉴스와 시장 심리에 따라 환율이 얼마나 민감하게 움직일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현재 시장은 달러 강세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원화 역시 여기에 영향을 받아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투자자와 기업들은 환율 변동성에 대비하는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이며, 특히 글로벌 뉴스에 대한 빠른 대응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원달러환율 #환율상승 #2025년환율전망 #글로벌달러강세 #위안화약세 #환율분석 #서울외환시장 #외국인순매도 #결제수요증가 #미중무역분쟁완화 #달러인덱스상승 #위안화환율 #엔화약세 #외환거래량증가 #환율전망2025 #2025년4월28일환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