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율이야기

2025년 2월 11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by Geld케빈 2025. 2. 11.
728x90
반응형


2025년 2월 11일 원·달러 환율, 1,450원대 유지…트럼프의 추가 관세 영향



2025년 2월 11일, 원·달러 환율이 전 거래일보다 1.25원 오른 1,452.45원에서 마감하며 이틀 연속 1,450원대 강세를 유지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추가 관세 부과 결정이 한국에도 전면적으로 적용되면서 환율 시장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다만,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점차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고, 환율의 급격한 변동은 제한되었습니다.

환율 변동 상세 분석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451.2원)보다 1.25원 상승한 1,452.45원에서 마감했습니다.

• 개장 후 움직임: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3원 오른 1,452.5원에 시작했습니다.

• 장중 최고점: 1,455.8원까지 상승하며 추가 상승 가능성을 보였습니다.

• 장중 흐름: 환율은 1,451~1,456원 사이에서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 장 마감: 결국 1,452.45원에서 마무리되었습니다.



환율이 큰 변동 없이 제한된 범위에서 움직인 것은 외환시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어느 정도 반영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발표와 시장 반응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한국에도 전면 적용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2018년 트럼프 집권 1기 당시 철강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지만, 일부 국가에는 예외를 적용했습니다.

• 하지만 이번에는 한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에 일괄적으로 25%의 관세를 적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이는 한국 철강업체와 관련 산업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높고, 무역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환시장에서는 이러한 조치가 새로운 것이 아니라 이미 예상된 흐름이라는 점에서 환율이 급등하지는 않았습니다.

달러 강세 및 글로벌 외환시장 흐름



• 달러인덱스: 이날 새벽 2시 15분 기준 108.39를 기록하며 강세를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큰 폭의 추가 상승 없이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 달러·엔 환율:151엔대에서 거래되며 큰 변동성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 달러·위안 환율: 7.31위안대에서 유지되며, 위안화 역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외국인 투자자 동향과 국내 증시 영향



이날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순매수세를 보이며 원화 가치 방어에 기여했습니다.



• 코스피 시장: 1,400억 원대 순매수

• 코스닥 시장: 100억 원대 순매도



외국인의 순매수 흐름은 환율 상승을 제한하는 역할을 했으며, 이로 인해 환율이 비교적 안정적인 범위에서 움직이게 되었습니다.

외환시장 거래 규모



이날 정규장에서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를 통한 외환 거래 규모는 80억 2,800만 달러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일(93억 600만 달러)보다 다소 줄어든 수치이지만, 여전히 높은 거래량을 기록하며 시장 참여자들의 환율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향후 환율 전망



현재 환율의 흐름을 결정할 주요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조치 여부 : 이번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적인 무역 조치를 발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다른 산업군까지 관세가 확대될 경우, 환율은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미국 경제 지표 및 연준(Fed) 정책 방향: 현재 미국의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연준이 금리 동결 또는 추가 인상을 시사하면 → 달러 강세 유지 → 원·달러 환율 상승 가능성



반면, 연준이 예상보다 완화적인 스탠스를 보이면 환율이 하락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외국인 투자 흐름 변화: 최근 외국인 투자자들이 코스피에서 순매수 흐름을 보이며 원화 강세를 일부 지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외국인이 다시 매도세로 전환할 경우,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결론



2025년 2월 11일 원·달러 환율은 1,452.45원으로 전날보다 1.25원 상승하며 1,450원대 강세를 유지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발표가 한국에도 적용되며 시장의 불안감이 지속되었습니다.

• 하지만 외환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점차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환율 변동성이 제한되었습니다.

• 달러 강세는 유지되었으나 추가 상승은 제한적이었으며, 외국인 투자자의 코스피 순매수로 인해 환율 상승 폭이 크지 않았습니다.



향후 환율은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조치, 미국 경제 지표,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 외국인 투자 흐름 등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환율 시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환율 #원달러환율 #매매기준율 #환율전망 #환율동향 #트럼프관세 #달러강세 #달러인덱스 #미국경제 #무역전쟁 #위안화환율 #엔화환율 #외국인투자 #코스피코스닥 #국제경제 #2025년2월11일환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