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diElpj/btsMdrKFrv9/Y0W4ESrFZrSwaNKjHN2oc0/tfile.png)
![](https://blog.kakaocdn.net/dn/brkKdd/btsMesoqKK5/bTO7keWiUekoGVNcfxnGLk/tfile.jpg)
![](https://blog.kakaocdn.net/dn/bBd6Ms/btsMcsjf0Ew/5BtEywSqRKZ2OpkXqT0oZk/tfile.jpg)
![](https://blog.kakaocdn.net/dn/egzqzm/btsMeKvAsE2/Hs6T9AgqsTENm3T2KsOzV0/tfile.jpg)
![](https://blog.kakaocdn.net/dn/bFG4ss/btsMcrdAw4a/YTh7qkXGakpseTF1KlwTzk/tfile.jpg)
![](https://blog.kakaocdn.net/dn/baxTpI/btsMb0N6ZvS/a8TjEdYwK28e3fKMIUhCXk/tfile.jpg)
2025년 2월 10일 원·달러 환율, 1,450원대로 상승…트럼프의 관세 정책 여파
2025년 2월 10일, 원·달러 환율이 전 거래일보다 3.4원 오른 1,451.2원에서 마감했습니다. 이날 환율 상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과 글로벌 시장의 불안감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환율 변동 상세 분석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447.8원)보다 3.4원 상승한 1,451.2원에서 마감했습니다.
• 개장 후 움직임: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9.7원 오른 1,457.5원에 개장했습니다.
• 장중 최고점: 개장 직후 1,458.0원까지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 장중 흐름: 이후 상승 폭을 줄이며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였고,
• 장 마감: 1,451.2원에서 마무리되었습니다.
환율이 상승 출발했지만, 장중에는 일부 상승 폭을 반납하며 1,450원대 초반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환율 상승 배경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철강·알루미늄 품목에 대해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지난 8일 기자들과의 백악관 회견에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정책을 논의한 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관세 정책 강화로 인해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었습니다. 이는 달러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며 원·달러 환율을 상승시켰습니다.
•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우려) →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감소 → 달러 강세 → 원·달러 환율 상승
또한, 중국이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10~15%)를 부과하면서 글로벌 무역 갈등이 격화되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달러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환율 상승을 유도했습니다.
달러 강세 및 글로벌 외환시장 흐름
• 달러인덱스:
• 이날 새벽 2시 14분 기준 108.21을 기록하며 강세를 유지했습니다.
• 다만, 추가 상승은 제한적인 모습을 보이며 108 초반에서 등락을 반복했습니다.
• 달러·위안 환율:
• 중국의 보복 관세로 인해 위안화가 약세를 보이며 7.31위안대에서 거래되었습니다.
• 달러·엔 환율:
• 151엔대에서 거래되며, 엔화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환율 흐름은 원·달러 환율의 상승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국내 증시와 외국인 투자자 흐름
이날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증시에서 대규모 순매도를 기록하며 원화 약세(환율 상승)를 유도했습니다.
• 코스피 시장: 2,700억 원대 순매도
• 코스닥 시장: 1,000억 원대 순매도
외국인들은 환율 상승 국면에서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국내 주식을 매도하고 달러 자산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원화 수요 감소 → 원·달러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외환시장 거래 규모
이날 정규장에서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를 통한 외환 거래 규모는 93억 600만 달러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거래일보다 증가한 수치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외환시장 참여자들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앞으로의 환율 전망
현재 환율의 흐름을 결정할 주요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의 추가 관세 조치 여부
•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적인 관세 조치를 발표할 경우, 글로벌 무역 불안이 더욱 커지며 달러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도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연준(Fed)의 금리 정책 변화
• 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줄어든 상황입니다.
• 만약 연준이 금리를 동결하거나 인상할 경우 달러 강세 지속 → 원·달러 환율 상승 요인이 될 것입니다.
• 반면, 연준이 예상보다 완화적인 정책(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면 환율이 하락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 동향
• 외국인이 계속해서 국내 증시에서 매도세를 유지한다면, 원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환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반대로 외국인이 매수세로 전환하면 원화 강세(환율 하락)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
2025년 2월 10일 원·달러 환율은 1,451.2원으로 전날보다 3.4원 상승하며 1,450원대에 안착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표와 중국의 보복 관세 시행으로 인해 글로벌 무역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 이에 따라 달러 강세가 유지되며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 및 코스닥 시장에서 대규모 순매도, 원화 약세(환율 상승)를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향후 환율은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조치 여부, 연준의 금리 정책, 외국인 투자 흐름 등에 따라 추가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환율 시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월 11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0) | 2025.02.11 |
---|---|
2025년2월6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0) | 2025.02.06 |
2025년 2월4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0) | 2025.02.04 |
2025년1월31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1) | 2025.01.31 |
2025년 1월 23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1)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