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LCZM4/btszzFmUXT2/DkBEHeMbeUx1dzP6A1uy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dM0cM/btszAZ6heE2/FpRtzGoo4sZCPo39jA3HD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vHfu8/btszA5MaTQY/LqRKUnJkRFipHGv072KJG1/img.jpg)
사진 참조: 네이버 환율, 서울외국환중개소
2023년 10월 31일 원 달러 환율은 전날 대비 0.4원이 하락한 1350.5원으로, 매매기준율은 0.5원 상승한 1352.8원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오늘 외환시장에서는 (BOJ)이 수익률 곡선 제어(YCC) 정책을 3개월 만에 재차 수정하며 전보다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펼치기로 했지만, 여전히 YCC 정책은 유지키로 하는 등 긴축 강도가 기대보다 약했다는 평가에 환율이 반등하였습니다.
BOJ는 전날부터 이날까지 이틀간 진행한 금융정책결정 회의를 열고 장기금리 지표인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가 1%를 초과해도 시장 상황에 따라 일정 부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단기금리를 -0.1%로 동결하고 국채 10년물 금리를 0% 정도로 유도하는 등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의 큰 틀은 유지하기로 했다. 상장지수펀드(ETF) 매입 정책도 변경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BOJ의 정책 변경은 지난 7월 말 회의에서 YCC 정책을 수정한 지 3개월 만에 이뤄진 것이다. 당시 BOJ는 무제한 국채 매입을 위한 금리 기준을 기존 0.5%에서 1%로 끌어올렸다.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가 0.5%를 초과해도 1%를 넘어서지 않는 한 매입에 나서지 않겠다는 것인데, 이날 이 기준을 0.5% 포인트 더 높인 것이다. 사실상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과 같은 효과입니다.
재무성은 정기적으로 금융 당국의 외환 개입 실시 내역을 발표하고 있다. 평소 주목받는 통계는 아니지만, 이달의 경우 엔·달러 환율이 잇따라 심리적 저항선인 달러당 150엔을 돌파하며 엔화 가치가 약세를 보여 개입 여부에 관심이 쏠렸다. 특히 이달 3일과 26일에는 장중 환율이 달러당 150엔대를 돌파한 뒤 급속히 엔 매수세가 유입돼 각각 147엔대, 149엔대로 ‘엔고(환율 하락)’ 장면을 연출하면서 금융 당국 개입설이 돌기도 했다. 이에 대해 재무성은 “긴장감을 갖고 시장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라는 입장만 반복할 뿐, 구체적인 개입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개입 가능성’은 그 자체만으로 일정 부분 엔 매도를 주저하게 하는 역할을 했다는 게 시장의 설명이다.
시장에서 예상하던 결과였지만 더 큰 서프라이즈는 없었기에 오전 내내 149엔대를 유지하던 달러‧엔 환율은 발표 직후 150엔대로 올라섰다. 엔화 약세로 돌아선 것이다. 이에 글로벌 달러화는 강세를 띄었다. 달러인덱스는 이날 새벽 3시 26분 기준 106.32를 나타내며 상승세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증시에서 순매도하며 환율 상승을 지지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3200억 원대, 코스닥 시장에서 1500억 원대를 순매도했다. 이에 코스피 지수는 1.41%, 코스닥 지수는 2.78% 하락했다.
이날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 중개에서 거래된 규모는 106억 5600만 달러로 집계됐다.
#YCC #일본은행 #수익률곡선제어정책 #일본국채 #금리 #재무성 #2023년10월31일환율 #한결최선케비
'환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11월 2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4) | 2023.11.02 |
---|---|
2023년 11월 1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3) | 2023.11.01 |
2023년 10월30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4) | 2023.10.30 |
2023년 10월27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4) | 2023.10.27 |
2023년 10월25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3) | 2023.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