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Geld케빈

2025년 6월 13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본문

환율이야기

2025년 6월 13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Geld케빈 2025. 6. 13. 21:17
728x90
반응형

[2025년 6월 13일 환율 분석]

원·달러 환율 1370원 근접 마감…중동 리스크에 21원 급등 후 외국인 순매수로 제한


2025년 6월 13일,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73.0원까지 치솟았다가 1369.6원에 마감하며, 전 거래일 대비 10.9원 상승한 수준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번 상승은 하루 전날 급락했던 환율 흐름과는 정반대의 양상으로,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가 시장을 뒤흔든 하루였습니다.

환율은 장중 무려 21원 이상 급등하는 높은 변동성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불안을 자극했습니다. 그러나 오후 들어 외국인의 국내 주식시장 순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상단이 제한되었고, 결국 1370원 선을 넘지 못한 채 마무리됐습니다.

1. 환율 흐름 요약: 지정학적 불안 → 21원 급등 → 외국인 자금 유입으로 조정


이날 환율은 전날보다 3.7원 하락한 1355.0원에 개장했습니다. 하지만 개장 직후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 뉴스가 전해지면서 시장은 급격히 요동치기 시작했습니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급등했고,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도 단숨에 상승세로 전환되었습니다.

• 개장가: 1355.0원 (전일 대비 3.7원 하락)
• 장중 고점: 1373.0원 (오후 1시 39분)
• 장중 저점: 1352.0원 내외
• 종가: 1369.6원 (전일 대비 10.9원 상승)

장중 1373.0원까지 치솟은 환율은 지정학적 불안감에 따른 달러 수요 확대로 설명됩니다. 하지만 오후 들어 국내 증시로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며 환율 상단이 막혔고, 결국 1369.6원에서 마감하게 되었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2.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환율 급등의 주요 원인은 중동 지역의 군사적 충돌 격화입니다. 13일 새벽(현지시간), 이스라엘이 이란의 나탄즈 핵시설 등 수십 곳에 선제 공격을 단행했고, 이로 인해 국제사회는 다시 한번 중동 리스크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었습니다.

• 이스라엘군 공습 대상: 이란 핵 농축시설, 핵과학자, 군사기지
• 사망자 발생: 이란 혁명수비대(IRGC) 총사령관 호세인 살라미 사망 보도
• 이스라엘 조치: 전국 비상사태 선포, 대피령, 내각 긴급회의 소집

이러한 소식에 글로벌 투자자들은 위험자산 회피(Risk-Off) 성향을 보이며, 달러화 및 금, 엔화 등 안전자산으로 쏠리는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원화는 약세 압력을 받아 환율이 상승하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3. 미국 생산자물가 둔화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발언


이날 외환시장에는 미국발 재료도 존재했습니다. 간밤 발표된 미국의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예상치를 하회하며 둔화세를 보였고, 이는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을 자극했습니다. 하지만 중동 리스크가 이를 압도하며 시장은 다시 달러 매수 우위로 돌아섰습니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 재부과 의지 표명도 달러 강세로 이어지는 요인 중 하나였습니다. 보호무역 기조에 대한 우려가 다시 커지면서, 달러 수요가 늘어나고 상대적으로 원화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 달러인덱스: 98.16 (새벽 3시 6분 기준)
• 달러 강세 전환
• 달러·엔 환율: 143엔대
• 달러·위안 환율: 7.18위안대

4. 외국인 순매도에서 순매수로 전환되며 환율 상단 제한


이날 증시에서 외국인은 초반부터 순매도를 이어가며 위험자산 회피 심리를 반영했습니다. 그러나 장 마감 무렵, 외국인은 다시 코스피 시장에서 1200억 원대 규모의 순매수를 보이며 환율 상승 압력을 일부 상쇄시켰습니다.

• 외국인 순매도 (장중): 1100억 원대
• 코스피 장 마감 순매수 전환: 1200억 원대
• 코스닥 시장: 외국인 지속적 순매도

이 같은 외국인의 자금 유입은 환율이 장중 1373.0원을 돌파한 이후 다시 1360원대 후반으로 조정을 받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5. 국내외 증시 동반 하락…위험 회피 심리 가속화


중동 긴장 고조는 국내뿐 아니라 아시아 전체 증시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가 일제히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심리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 코스피 지수 하락
• 코스닥 지수 하락
• 외국인 투자자 심리 변화

이는 위험 회피 심리에 따른 환율 상승을 더욱 강화하는 요인이 되며, 환율 1370원 돌파의 배경이 되었습니다.

6. 서울 외환시장 거래량: 100억 2100만 달러


이날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에서 집계된 외환 거래 규모는 총 100억 2100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중동 리스크에 대한 시장 대응이 활발히 이루어졌다는 방증이며, 변동성이 컸던 하루였음을 보여줍니다.

• 기업들의 환위험 관리 확대
• 단기 트레이딩 수요 증가
• 금융기관들의 리스크 관리 거래 확대

이러한 거래량 증가는 환율이 단기간에 급등락하는 상황에서 시장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방어 및 전략 조정 움직임을 반영합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7. 향후 환율 전망: 지정학적 변수에 좌우될 가능성 높아


13일의 환율 급등은 일시적인 기술적 반등이 아닌 지정학적 충격에 의한 급등이라는 점에서, 앞으로의 환율 흐름 역시 중동 정세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환율 추가 상승 요인
• 이란의 보복 공격 가능성
• 유가 급등에 따른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
• 미국 달러 안전자산 선호 지속

▼ 환율 하락 요인
• 외국인 자금 유입 확대
• 미국 내 금리 인하 기대 지속
• 국내 수출업체의 네고 물량 증가

단기적으로는 지정학적 이슈에 따른 환율 급등락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으며, 국내 기업과 개인들은 이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진참조: 네이버 환율

8. 결론: 환율의 중심은 ‘불확실성’…리스크 대응이 핵심


2025년 6월 13일 환율은 중동 불안이라는 예기치 못한 변수에 즉각 반응하며 1370원 선을 위협했습니다. 그러나 시장은 하루 만에 또다시 외국인 자금 유입이라는 변수를 받아들이며 조정에 들어가는 유동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앞으로 환율은 정책보다 전 세계 리스크 요인, 특히 지정학적 변수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기업과 투자자들은 환율 흐름에 대한 예측보다는 대응 중심의 전략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환율 #환율급등이유 #중동지정학리스크 #이스라엘이란전쟁 #원달러1370원 #환율예측 #달러강세이유 #달러인덱스하락 #외국인순매수영향 #국내증시하락원인 #서울외환시장현황 #환율전망분석 #나탄즈핵시설공습 #환율과정치불안 #환율리스크대응전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