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Geld케빈

2025년 3월 13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본문

환율이야기

2025년 3월 13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Geld케빈 2025. 3. 13. 21:24
728x90
반응형

 

2025년 3월 13일 환율: 1,450원대 유지, 금리 인하 전망에 상승 마감


원·달러 환율이 1,450원대 레인지를 지속하며 4거래일 연속 같은 범위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달러 약세에도 불구하고 원화는 수혜를 받지 못하는 모습이며,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전망과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증시 순매도 영향으로 환율이 상승 마감했습니다.
13일 오후 3시 3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1,453.8원으로 전 거래일 종가(1,451.0원) 대비 2.8원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 환율은 1,450.5원으로 개장한 후 오전 한때 1,440원 후반대까지 하락했으나, 오후 들어 반등하며 상승 흐름을 보이며 마감했습니다.

환율이 장중 최고 1,454.8원까지 상승하는 등 변동성이 큰 흐름을 보였으며,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사와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증시 대규모 순매도가 원화 약세를 유발하면서 환율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환율 변동 주요 흐름


✔ 전 거래일(1,451.0원) 대비 2.8원 상승 → 1,453.8원 마감
✔ 개장가 1,450.5원 → 장중 1,440원 후반대까지 하락 후 반등
✔ 오후 1시 31분 1,454.8원 터치 → 상승 전환 후 마감까지 상승 지속
✔ 한국은행 금리 인하 시사 → 원화 약세 요인
✔ 외국인 투자자 국내 증시 대규모 순매도(5,700억 원대) → 환율 상승 지지
✔ 달러화 약세 지속, 달러인덱스 103.62 유지
✔ 주요 아시아 통화 강세 → 달러·엔 환율 147엔대, 달러·위안 환율 7.24위안대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환율 상승의 주요 원인


1.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사 → 원화 약세 유발

✔ 한국은행,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경기 하방 압력 완화에 정책 초점" 발표
✔ 최창호 한은 통화정책국장 "올해 2~3차례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
✔ 한미 금리 차 확대 우려 → 원화 약세 심화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당분간 낮은 성장세가 예상된다"며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했습니다.

최창호 한국은행 통화정책국장은 "올해와 내년 성장률(1.5%, 1.8%) 전망에는 올해 2~3차례 추가 금리 인하가 반영됐다"고 발언하며 시장의 기대를 확고히 했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빠르게 인하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판단, 달러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환율 상승을 촉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올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보다 금리 인하 횟수를 줄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하할 경우 한미 금리 차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자금 유출을 초래할 수 있어 원화 약세 압력을 더욱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증시 대규모 순매도 → 환율 상승 지지

✔ 외국인 투자자, 국내 증시에서 5,700억 원대 순매도 기록
✔ 코스피·코스닥 하락 마감 → 원화 약세 요인

이날 국내 증시는 전날과 달리 하락 마감했으며, 외국인 투자자가 대규모 순매도를 기록하면서 환율 상승을 지지했습니다.
외국인은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총 5,700억 원 규모의 매도를 단행하며, 달러 수요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국내 자산에 대한 투자 매력이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결과적으로 외국인 투자자의 원화 매도 및 달러 매수세가 강해지면서 환율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3. 글로벌 외환시장 흐름: 달러 약세 지속, 아시아 통화 강세

✔ 달러인덱스 103.62 기록 → 보합 유지
✔ 주요 아시아 통화 강세 → 달러·엔 환율 147엔대, 달러·위안 환율 7.24위안대

이날 글로벌 외환시장에서는 달러화가 약세를 지속하며 원·달러 환율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국내 요인이 더 강하게 작용하면서 환율이 상승했습니다.
달러인덱스는 103.62를 기록하며 전일과 큰 변동이 없었고, 주요 아시아 통화들은 강세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엔화와 위안화가 강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원화는 수혜를 받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국내 금리 인하 전망 및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증시 순매도 영향이 글로벌 요인을 압도했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환율 전망: 한미 금리 차 확대 여부가 핵심 변수


현재 원·달러 환율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사 및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증시 대규모 순매도 영향으로 상승 압력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 환율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따라 결정될 전망입니다.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 → 추가 인하 시 환율 상승 가능성
✔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 예상보다 늦어질 경우 원화 약세 심화 가능성
✔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증시 매매 동향 → 순매도 지속 시 환율 추가 상승 우려
✔ 글로벌 경제 지표 발표(미국 PPI 지수 등) → 달러 흐름에 미치는 영향

특히, 오늘 밤 미국의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결과가 달러화 움직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전망입니다.
만약 PPI 지수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면서 달러 강세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원·달러 환율 추가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PPI 지수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 달러 약세가 지속되면서 환율이 다시 하락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미국 경제 지표 결과와 한국은행의 추가적인 정책 발표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환율 시장의 변동성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만큼, 시장 흐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진참조: 네이버 환율

#환율 #원달러환율 #환율전망 #외환시장 #금리인하 #한국은행 #미국금리 #달러약세 #외국인투자 #코스피 #코스닥 #경제뉴스 #금융시장 #PPI지수 #달러인덱스  #2025년3월13일환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