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dB6dTi/btsDzw08Cnm/WFTrLoGeEGk1q27PktzpK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tcw7U/btsDARDsUiW/ekMF3hTZUvcy3porvvgXU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EoJDG/btsDz9kkOlG/Jmry7JN4KIVG6szqKQRdo0/img.png)
사진 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2024년 1월 9일에는 원 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11.2원 오른 1331.4원으로, 매매기준율은 5.2원 오른 1319.3원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오늘 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연초부터 1330원을 돌파하며 두 달여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전 세계적으로 각종 지정학적 리스크에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커지며 달러화 강세는 두드러지고 증시는 하락세다. 여기에 미국, 유럽 등 주요국들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도 잦아들면서 원화 약세가 심화하는 모습이다.
오늘 환율은 역외 환율을 반영해 전 거래일 종가보다 0.8원 오른 1321.0원에 개장했다. 이후 환율은 가파르게 올라 1330원 부근까지 상승했다. 오후 무렵 1330원을 돌파했고 이후에도 환율은 상승세를 지속하며 1330원 위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홍해 발(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와 대만 총통 선거로 인한 미국과 중국의 대립, 북한 도발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며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안전자산인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커지며 달러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달러인덱스는 이날 새벽 12시 36분 기준 102.94를 기록하고 있다. 장 초반 102 중반대에서 후반으로 오른 것입니다.
달러 강세에 아시아 통화는 일제히 약세다. 달러·위안 환율은 7.19위안대, 달러·엔 환율은 146엔대로 모두 상승세입니다.
위험자산 회피에 국내 증시는 하락세다.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순매도하며 환율 상승을 지지하고 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1800억 원대, 코스닥 시장에서 200억 원대를 팔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미국, 유럽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은 주춤한 모습이다. 이는 국내 증시와 위험통화인 원화에는 부정적인 요인이다. 이에 역외 달러 매수세가 환율 상승 압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다소 잠잠해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 워치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오는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69.5%를 기록했다. 전날 70%대에서 소폭 하락했습니다.
전날 유럽중앙은행(ECB) 이사회의 요아힘 니겔 독일연방은행 총재는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심각해 금리 인하를 논의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냈다. 이에 유로존의 국채금리는 상승하고, 유럽증시는 대체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오늘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 중개에서 거래된 규모는 129억 2300만 달러로 집계됐다.
#금리인하기대 #달러인덱스 #물가상승 #위험자산 #환율 #미연준 #2024년1월16일환율 #한결최선케비
'환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1월 18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1) | 2024.01.18 |
---|---|
2024년 1월 17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1) | 2024.01.18 |
2024년 1월 15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1) | 2024.01.15 |
2024년 1월 12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2) | 2024.01.12 |
2024년 1월 11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2)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