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Geld케빈

2025년 8월 8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본문

환율이야기

2025년 8월 8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Geld케빈 2025. 8. 8. 23:06
728x90
반응형

2025년 8월 8일 원/달러 환율 분석 — 1,390원 눈앞, 상승세 전환 배경은?


2025년 8월 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다시 상승세로 전환하며 1,390원에 바짝 다가섰습니다. 전날보다 8.4원 오른 1,389.6원으로 거래를 마감했으며, 장중에는 1,390.0원을 터치하며 심리적 저항선을 시험했습니다.

이번 환율 상승에는 수입업체의 결제 수요와 외국인 투자자의 증권 매도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달러 가치가 소폭 상승하며 원화 약세가 나타났고, 외국인의 유가증권 순매도가 환율에 직접적인 상승 압력을 가했습니다.


■ 장 초반 하락, 그러나 곧 반등


이날 환율은 1,381.6원에서 시작했습니다. 장 초반에는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이 반영되며 환율이 1,379.7원까지 하락했습니다. 이는 투자 심리에 일시적인 안도감을 주며 원화 강세 흐름이 나올 수 있었지만, 시장의 반응은 오래가지 않았습니다.

달러인덱스가 전날보다 0.13% 오른 98.208을 기록하면서 달러 가치가 반등했고, 이에 따라 환율은 빠르게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특히 수입업체의 달러 결제 수요가 집중되면서 장중 내내 매수세가 이어졌습니다.

■ 외국인 매도세, 환율 상승세를 부추기다


8월 8일 외환시장의 특징 중 하나는 외국인의 공격적인 매도세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날 1,572억 원 규모의 유가증권을 순매도했습니다. 이는 원화에 대한 수요를 줄이고 달러에 대한 수요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외국인의 매도세는 단순한 차익실현이 아니라, 환율 상승 기대감과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맞물린 결과로 보입니다. 특히 미 연준의 금리 정책, 미국 경제지표의 혼조세, 그리고 국제 유가 변동성이 투자자들의 심리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 주식시장 흐름 — 코스피 하락, 코스닥 상승


환율 상승과 외국인 매도세는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17.67포인트(0.55%) 하락한 3,210.01로 마감하며 5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이는 외국인 매도와 환율 상승이 투자심리에 부담을 준 결과입니다.

반면 코스닥 지수는 3.46포인트(0.43%) 오른 809.27을 기록했습니다. 중소형 성장주의 일부 매수세 유입이 코스닥을 지탱한 것으로 보입니다.


■ 엔화 및 기타 주요 통화 동향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3.03원으로 전날보다 4.11원 상승했습니다. 이는 달러/엔 환율이 **147.350엔(+0.17%)**을 기록하며 달러 강세가 엔화 약세를 부른 결과입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98.208로, 소폭 상승하며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달러의 매수세가 우세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환율 상승이 주는 시사점


이번 환율 움직임은 단기적으로 1,390원대 진입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특히 수입업체의 결제 수요와 외국인 매도세가 동시에 나타날 경우, 환율이 단기간에 급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달러인덱스가 98선에서 추가 상승할 경우, 원/달러 환율이 1,395원~1,400원 구간까지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강화되면 원화 강세가 재차 나타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달러 강세 압력이 더 우세해 보입니다.

■ 향후 전망


전문가들은 8월 중순까지 환율이 1,380원~1,395원 범위에서 변동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8월 중순 예정된 미국의 물가 지표 발표와 연준 관계자의 발언이 환율 방향성에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수입업체 결제 수요와 외국인 자금 흐름, 달러인덱스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투자자라면 원화 약세 국면에서 환율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환율 #원달러환율 #2025년환율 #환율전망 #달러인덱스 #원화가치 #외국인매도 #수입업체결제 #금리인하가능성 #미국경제지표 #코스피 #코스닥 #엔화환율 #글로벌환율 #외환시장 #서울외환시장 #경제뉴스 #금융시장동향 #투자전략 #달러강세 #원화약세 #외환동향 #주식시장영향 #2025년8월환율 #환율분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