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Geld케빈

2025년 3월6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본문

환율이야기

2025년 3월6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Geld케빈 2025. 3. 6. 22:10
728x90
반응형

 

 

2025년 3월 6일 환율: 관세 완화 기대감 속 원·달러 환율 1,440원대 하락


2025년 3월 6일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관세 정책 완화 기대감과 글로벌 달러화 급락 영향을 받으며 전 거래일 대비 12.35원 하락한 1,442.15원에 마감했습니다.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9.5원 내린 1,445.0원에서 출발한 뒤 오전 한때 1,437.8원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1440원대에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점심 무렵부터 다시 1440원 위에서 거래되었습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일부 관세 부과를 완화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달러화가 급락한 것과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증시 순매수가 영향을 준 결과입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환율 변동 상세 분석

 

환율 흐름 요약


✔ 전 거래일 종가(1,454.5원) 대비 12.35원 하락 → 1,442.15원 마감
✔ 개장가 1,445.0원 → 장중 최저 1,437.8원 터치
✔ 점심 이후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1,440원 위에서 등락
✔ 달러인덱스 104.22까지 하락 (4개월 만에 최저치 기록)
✔ 외국인 투자자, 코스피 시장에서 1,300억 원 순매수 → 10거래일 만에 매수 전환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환율 등락을 좌우한 주요 이슈


1.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완화 조치

✔ 멕시코·캐나다 대상 자동차 25% 관세, 1개월 면제 결정
✔ 캐나다산 에너지 제품 10% 관세 철회 가능성 발표
✔ 글로벌 무역 분쟁 완화 기대감 확대 → 달러화 약세 촉진

트럼프 행정부가 이달 4일부터 적용된 캐나다·멕시코 대상 관세 조치를 일부 완화할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줄어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달러화가 급락했고, 원·달러 환율도 1,440원대로 내려앉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 글로벌 달러화 약세 및 아시아 통화 강세

✔ 달러인덱스 104.22 기록 (2024년 11월 이후 최저치)
✔ 달러·엔 환율 148엔대 유지, 달러·위안 환율 7.24위안대
✔ 아시아 통화 강세 → 원화 강세 영향

미국의 관세 완화 조치 발표 이후 달러화는 약세를 보이며 달러인덱스가 104.22까지 하락, 이는 4개월 만에 최저치입니다.
반면 엔화와 위안화 등 아시아 통화는 강세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원화 역시 강세를 유지하면서 환율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3.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증시 순매수 전환

✔ 외국인, 코스피 시장에서 1,300억 원 순매수 → 10거래일 만에 매수세 전환
✔ 코스닥 시장에서는 2,100억 원 순매도
✔ 외국인 매도세 완화 → 원화 강세 요인

그동안 코스피 시장에서 9거래일 연속 매도세를 보였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10거래일 만에 순매수로 전환하며 환율 하락을 더욱 부추겼습니다.
이는 달러를 매도하고 원화를 사들이는 수급적인 영향을 주면서 원·달러 환율 하락의 요인이 되었습니다.

4. 수급 요인: 1,440원선에서 저가 매수세 유입

✔ 1,440원 이하에서 저가 매수세 유입 → 환율 추가 하락 제한
✔ 이날 정규시장 거래 규모 100억 2,300만 달러

환율이 장중 1,437.8원까지 하락했지만, 1,440원 이하에서는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추가 하락이 제한되었습니다.
수급적으로 환율이 너무 낮아지면 수입업체들이 달러를 다시 사들이는 경향이 있어, 이로 인해 장중 환율이 다시 1,440원대로 올라서는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향후 환율 전망


1.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무역 정책 여부

• 멕시코·캐나다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에 대한 추가 관세 완화 조치 발표 여부
• 추가 완화 시 환율 하락 가능성
• 반대로 새로운 무역 규제가 등장하면 환율 상승 가능성

2. 미국 경제 지표 및 연준(Fed) 금리 정책

• 경기 둔화 신호가 강해질 경우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상승 → 환율 하락 가능성
• 반대로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양호하면 달러 강세 전환 → 환율 상승 가능성

3. 외국인 투자자의 지속적인 국내 증시 매수 여부

• 외국인 투자자들이 지속적으로 코스피 시장에서 순매수를 이어갈 경우 환율 하락 가능성
• 반대로 다시 매도세로 전환할 경우 환율 상승 가능성

4. 글로벌 금융 시장 및 지정학적 리스크

•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면 달러 강세 → 환율 상승 가능성
• 반대로 위험 선호 심리가 커지면 달러 약세 → 환율 하락 가능성

사진참조: 네이버 환율

 

결론


2025년 3월 6일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12.35원 하락한 1,442.15원에 마감했습니다.
이날 환율 하락의 주요 요인은 트럼프 행정부의 일부 관세 완화 조치 발표로 인한 달러화 급락과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증시 순매수 전환이었습니다.

다만 1,440원선에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추가 하락은 제한되었습니다.
향후 환율은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무역 정책, 미국 경기 둔화 여부, 연준의 금리 결정, 외국인 투자자 동향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변동성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환율 #원달러환율 #환율전망 #외환시장 #달러하락 #달러인덱스 #트럼프관세 #미국경제 #무역분쟁완화 #한국증시 #외국인투자 #엔화환율 #위안화환율 #금리인하 #글로벌경제 #2025년3월6일환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