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야기

2025년 3월 26일 환율 및 매매기준율

Geld케빈 2025. 3. 27. 00:21
728x90
반응형

2025년 3월 26일 환율: 7거래일 만에 하락, 관세 불확실성 지속


오는 4월 2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일이 다가오면서 외환시장에서는
경계감이 커지고 있지만, 원·달러 환율은 1460원대에서 숨 고르기를 하는 모습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 국내 정치적 혼란, 글로벌 경제 둔화 등이 맞물리면서
환율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국내 정국 안정이 선결돼야
환율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환율 흐름 요약


✔ 전 거래일(1,469.2원) 대비 2.9원 하락한 1,466.3원 마감 → 7거래일 만에 하락
✔ 개장가 1,467.0원 → 장중 최저 1,462.2원 기록 후 반등
✔ 장중 변동폭 5원 이내로 제한적
✔ 외국인, 국내 증시 4,000억 원대 순매수 → 원화 강세 요인
✔ 달러인덱스 104.33 기록 → 장중 소폭 반등
✔ 달러·엔 환율 150엔대, 달러·위안 환율 7.27위안대 상승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환율 하락 주요 원인


1. 미국 상호관세 정책 불확실성 확대 → 달러 방향성 모호

✔ ‘더러운 15개국(Dirty 15)’ 명단 발표 임박 → 한국 포함 가능성
✔ 트럼프 대통령, ‘일부 국가 면제 가능성’ 시사 → 시장 혼란 가중
✔ 미국 경제 둔화 신호 확대 → 달러화 약세 요인

미국은 오는 4월 2일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강도와 범위에 대한 공식 발표를 예고했습니다.
특히 미국과 무역 흑자를 기록하는 주요 국가들이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도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부 국가가 관세 면제 또는 유예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며,
확실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어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달러화의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아, 원·달러 환율도 146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하는 상황입니다.

2. 미국 경기 둔화 신호 확대 → 달러 약세 요인

✔ 미국 3월 소비자신뢰지수(CB) 92.9 기록 → 4년 만에 최저치
✔ 경기 둔화 우려 증가 → 달러화 약세 출발 후 장중 반등
✔ 달러인덱스 104.33 기록 → 강한 상승세는 제한적

미국 경제는 관세 불확실성과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해 부정적인 경제 지표를 발표했습니다.
미국 소비자신뢰지수(CB)가 92.9를 기록하며 지난 2021년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고,
시장의 예상치(94.0)도 크게 하회했습니다.

이는 미국 경기 둔화 우려를 키우면서 초반 달러화 약세를 유발했지만,
장중 반등하면서 최종적으로 달러 가치 하락 폭은 제한되었습니다.

3. 외국인 국내 증시 4,000억 원대 순매수 → 원화 강세 요인

✔ 외국인 투자자, 국내 증시 대규모 순매수 → 원화 강세 유도
✔ 환율 1,462.2원까지 하락 후 반등
✔ 그러나 국내 경제 불안 지속 → 원화 추가 강세 제한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4,000억 원 이상을 순매수하며 환율 하락을 지지했습니다.
이로 인해 장중 환율이 1,462.2원까지 내려갔지만, 이후 다시 반등하며 1,466.3원에서 마감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고 있어, 원화의 추가 강세는 제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환율 상승 제한 요인: 한국의 정치 불안과 글로벌 경제 흐름


✔ 한국, 튀르키예·인도네시아와 함께 정치적 불안 지속
✔ 내수 경기 악화 → 금융시장 불안 지속
✔ 유럽·중국 경제 개선 → 글로벌 통화가치 상승

한국 경제는 튀르키예, 인도네시아 등과 함께 정치적 불안 요인으로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입니다.이로 인해 원화 가치는 다른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반면 유럽과 중국은 경기 개선 신호를 보이며, 통화 가치가 상승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원화 약세를 부추기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어야, 미국의 관세 여파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금융시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사진참조: 서울외국환중개소


환율 전망: 다시 상승 가능성 높아


현재 원·달러 환율은 7거래일 만에 하락했지만, 국내 정치 불확실성과 미국 관세 정책 발표가 임박한 만큼, 향후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 4월 2일 미국 관세 정책 발표 → 원화 추가 변동성 예상
✔ 미국 경기 둔화 지속 시 → 달러 강세 둔화 가능성
✔ 외국인 투자 흐름이 환율 안정의 핵심 변수
✔ 외환당국 개입 여부가 단기 환율 움직임 결정


사진참조: 네이버 환율


단기적으로 환율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이유

1️⃣ 미국 관세 정책 발표가 임박하면서 불확실성 증가
2️⃣ 국내 정치적 불안 지속 → 원화 약세 지속 가능성
3️⃣ 미국 경기 둔화가 예상보다 심할 경우 → 글로벌 시장 변동성 확대

하지만, 환율이 추가 하락할 가능성도 있음

✔ 외국인 투자자들이 계속해서 국내 증시를 순매수할 경우
✔ 미국이 한국을 관세 면제국으로 포함할 경우
✔ 달러인덱스가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할 경우

현재 원·달러 환율은 단기적인 하락을 기록했지만, 향후 미국의 관세 정책 발표와 국내 정치적 이슈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환율의 방향성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국내외 경제 및 정치적 변수들을 지속적으로 체크해야 합니다.

#환율 #원달러환율 #환율전망 #외환시장 #미국관세 #경제뉴스 #정치불안 #외국인투자 #코스피 #달러인덱스 #달러강세 #환율하락 #국제경제 #한국경제 #매매기준율 # 2025년3월26일환율

728x90
반응형